2024-03-28 17:50 (목)
올해 1분기 악성코드 분석, 랜섬웨어 변종 14% 증가
상태바
올해 1분기 악성코드 분석, 랜섬웨어 변종 14% 증가
  • 데일리시큐
  • 승인 2016.05.12 18:3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분기에는 랜섬웨어 관련 뉴스가 APT 공격을 뛰어넘으며 보안 업계의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카스퍼스키랩의 1분기 악성 코드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에 탐지된 새로운 악성 코드 변종은 2,900개였으며 이는 지난 분기보다 14% 증가한 수치다. 현재 카스퍼스키랩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랜섬웨어 변종의 수는 약 15,000개에 이르며 이 숫자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년 1분기에 카스퍼스키랩 보안 솔루션이 차단한 랜섬웨어 공격은 372,602건이었으며 그 중 17%는 기업 사용자를 노린 공격이었다. 공격받은 사용자 수는 2015년 4분기 대비 30% 증가했다.
 
2016년 1분기에 가장 널리 퍼진 랜섬웨어는 Locky였다. 카스퍼스키랩에서는 114개국에서 Locky를 탐지했으며 2016년 5월 초인 현재에도 이 악성 코드는 여전히 활동 중이다. Petya라고 불리는 또 다른 랜섬웨어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주목을 받았다.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암호화할 뿐 아니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에 덮어쓰기까지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염된 컴퓨터는 운영 체제를 부팅할 수조차 없게 된다.
 
카스퍼스키랩의 탐지 현황을 보면 1분기 상위 3개 랜섬웨어는 Teslacrypt(58.4%), CTB-Locker(23.5%), Cryptowall(3.4%)이며 모두 악성 첨부파일이나 감염된 웹페이지 링크가 포함된 스팸이메일을 통해 주로 유포되었다.
 
랜섬웨어 공격이 증가하는 이유는 또 있는데 바로 사용자들이 랜섬웨어 공격은 불가항력이라고 믿는다는 점이다. 개인 뿐만 아니라 기업도 랜섬웨어를 막을 수 있는 대응 기술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또한 기본적인 IT 보안 규칙을 무시하여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이용당할 틈을 스스로 내어주기도 한다.
 
Kaspersky Security Network 데이터에 의하면 2016년 1분기 악성 코드 상황은 다음과 같다.
◇카스퍼스키랩 제품은 컴퓨터 및 모바일기기에서 악성 코드 공격을 총 2억 2,800만 건 차단했다.
 
◇웹 기반 공격을 한 번 이상 경험한 인터넷 사용자는 전체 사용자 중 21.2%였으며 이는 2015년 4분기보다 1.5% 감소한 수치이다.
 
◇악성 코드 공격을 한 번 이상 경험한 카스퍼스키랩 솔루션 사용자는 전체 사용자 중 44.5%이며 이는 2015년 4분기보다 0.8% 증가한 수치이다.
 
◇카스퍼스키랩 솔루션은 인터넷뱅킹 서비스에 접속해 돈을 훔치려는 사이버 범죄 시도로부터 459,970명의 사용자를 보호했으며 이는 지난 분기에 비해 23% 감소한 수치이다.
 
◇악성 코드 유포에는 지속적으로 Adobe Flash Player와 Internet Explorer, Java의 취약점이 악용되었다. Java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은 빈도가 줄었다. 카스퍼스키랩의 통계에 따르면 Java 취약점 공격은 2015년 4분기 대비 3.3% 낮아졌으며 1분기 취약점 악용 통계에서 전체의 8%를 차지했다. 동일한 통계에서 Flash의 취약점 악용(1% 증가, 전체에서 6%)과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 악용(10% 증가, 전체에서 15%)은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의 주요 모바일 사이버 위협은 다음과 같다.
◇1분기 전체 모바일 위협에서 애드웨어는 42.7%를 차지해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드러났으며 지난 분기보다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모바일 트로이목마는 4,146개가 탐지되었으며 이는 지난 분기보다 1.7배 증가한 숫자이다. SMS-트로이목마도 증가하는 추세다.
 
◇신종 모바일랜섬웨어도 2015년 4분기에는 1,984개, 2016년 1분기에는 2,895개로 1.4배 증가했다. 
 
◇공격을 가장 많이 받는 나라는 중국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있는 카스퍼스키랩 보안 솔루션 사용자 중 40%가 모바일 위협을 경험했다. 중국 다음으로는 방글라데시(28%)와 우즈베키스탄(21%)이 뒤를 이었고 가장 안전한 나라는 대만(2.9%), 호주(2.7%), 일본(0.9%)이었다.
 
카스퍼스키랩코리아의 이창훈 지사장은 "랜섬웨어가 이렇게까지 유행한 까닭은 범죄 수익 모델의 단순성에 있다. 일단 사용자의 시스템이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원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익명으로 전달되는 비트코인을 이용해 대가를 지불하기 때문에 추적하기도 어려워 범죄자들이 더욱 선호하고 있다. 더구나 수수료를 받거나 범죄 수익을 나누는 조건으로 악성 코드를 유포해주는 랜섬웨어 서비스(RaaS) 비즈니스 모델도 위협적인 수준이다”라고 말했다.
 
★정보보안 대표 미디어 데일리시큐!★
 
<데일리시큐 길민권 기자> mkgil@dailysecu.com
■ 보안 사건사고 제보 하기

▷ 이메일 : mkgil@dailysecu.com

▷ 제보 내용 : 보안 관련 어떤 내용이든 제보를 기다립니다!

▷ 광고문의 : jywoo@dailysecu.com

★정보보안 대표 미디어 데일리시큐 / Dailysecu, Korea's leading security media!★